문화마당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금주의 시> 한명희 시인 '세한송백'
[전남방송.com=오현주 기자]
 
오현주 기자   기사입력  2021/04/26 [09:53]
▲     © 전남방송

.

 

 

 

                     세한송백 歲寒松柏

 

 

                           한명희

 

 

  갑진년 정월 모일에

  추사의 이웃하던 송백 그 몇 그루

  화전지 눈밭에 심어주었지

  추위로 시드는 설 풍광에 외따론 집 하나

  언필칭 살아 솟은 나무 그결로 초묵 짙게 찍어

  시들지 않은 뿌리는 끝내 숨겨준 선생

 

  그림 밖으로 천지가 백백이라

  소년의 글문 두런두런 눈에 날리는 섬에서

  문 밖 울타리 빽빽한 안부를 세워

  추사는 다시 글을 뿌리로 묻노라고

 

  공의 자께서 침묵하지 않은 변은

  청청한 잎맥으로 사철을 지나는 일

  한 폭 속으로 모두 나란히 세운 법이

  간밤에 잠깐 북천을 다녀오마던 나무

  여전히 파랗게 살아죽는 법

 

  가시울타리 안 고적한 방을 엎딘 선생

  어쩌면은 세찬 바람에 맞선 소나무 같아

  사람이 사람으로 산 추사 선생 여전하게

  세한의 천 년 외딴 문 안에서

  그리 푸르시다 더욱 푸르시다

 

 

 

 

 

*세한도의 유래

 

자한 제 16장으로 인해 조선 문인화의 최고 걸작으로 손꼽히는 세한도가 탄생했다. 세한도는 추사 김정희가 귀중한 책을 수천리 밖 북경에서 여러 해를 두고 구해서 보내 준 제자 이상적에게 고마움을 표시하기 위해 그린 그림이다.

 

세한도가 명작인 이유는 바로 이 그림 한 장에 김정희가 추구한 불명의 정신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세한'은 날씨가 추워졌다는 뜻으로 본다. <논어>이 편이 공자가 날씨가 추워진 뒤라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든다는 것을 알게 된다고 한데서 비롯된 말이다. 모든 나무가 다 시들어 버린 혹한의 계절에 소나무와 잣나무만은 여전히 푸름을 간직하고 있다.

 

추위를 이기는 굳센 뜻이야말로 그가 추구한 불멸의 정신이었던 것이다. 추위가 온다는 것은 시련이다. 그러나 그 시련의 계절에 선비의 아름다움이 비로소 드러나는 것이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21/04/26 [09:53]  최종편집: ⓒ 전남방송.com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2024년 3월 이달의 추천관광지-영
많이 본 뉴스